관계ON: 관하여 (not About)/완주에 관하여

퍼머컬처로 새로운 삶을 디자인하다: 임경수 작가의 '이제, 시골' 책 리뷰

모지완주: 느리게 완주해부러 2025. 5. 18. 22:49
728x90
SMALL
 
이제, 시골
팬데믹 시대의 도래로 복작한 도시를 떠나 지역생활에 눈을 돌리는 이들에게 방향을 제시하는 귀농귀촌생활 가이드북. 마을만들기, 마을교육 전문가인 저자는 귀농과 귀촌의 차이는 사실상 애매하다며 ‘귀향(歸鄕)’이라는 단어를 소환, 자신에게 맞는 귀향 디자인을 하도록 권유한다. 각자에게 주어진 상황에 맞춰 반농반X의 ‘농’을 디자인하고, ‘X’를 디자인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귀향 디자인에 들어가기 전에 퍼머컬처(지속가능한 농촌생활
저자
임경수
출판
소일
출판일
2020.10.15

안녕하세요, 완주에서 뭐 하지? 모지완주입니다.

 

오늘은 특별히 임경수 작가의 '이제, 시골'이라는 책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팬데믹 이후 많은 분들이 복잡한 도시를 떠나 지역생활에 눈을 돌리고 있는데요, 이 책은 귀농귀촌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훌륭한 이정표가 될 것 같아 소개해드립니다.

 

퍼머컬처, 지속가능한 삶의 디자인

'이제, 시골'은 단순한 귀농귀촌 가이드북이 아닌 '퍼머컬처로 귀향을 디자인하다'라는 부제를 가진 책입니다. 퍼머컬처(Permaculture)는 '영속적인(permanent)'과 '농업(agriculture)' 또는 '문화(culture)'의 합성어로,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체계를 의미합니다.

임경수 작가는 서울대학교에서 환경관리를 전공하고, 호주 크리스탈워터즈 생태마을에서 퍼머컬처를 배웠습니다. 2001년에는 사회적기업 '이장'을 창업했습니다. 현재는 협동조합 '이장'을 새롭게 설립하여 주민자치와 지역자산화사업에 관심을 두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귀향(歸鄕)의 새로운 의미

저자는 귀농과 귀촌의 차이는 사실상 애매하다며 '귀향(歸鄕)'이라는 단어를 소환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합니다.

"귀향의 '향'을 달리 해석하면 이런 로컬리티가 남아 있는 곳이다. 태어났던 곳이 아니더라도 로컬리티가 살아 있는 지역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보자는 뜻을 귀향이 담고 있다. 그래서 귀향 디자인은 농촌과 도시를 구별하지 않는다. 로컬리티가 남아 있다면, 로컬리티에 기대 새로운 삶을 찾을 수 있다면 대도시의 골목길에서, 아파트 단지에서도 귀향은 가능하다."

이처럼 저자는 단순히 농촌으로 이주하는 것이 아닌, 자신에게 맞는 '귀향 디자인'을 하도록 권유합니다. 각자에게 주어진 상황에 맞춰 반농반X의 '농'을 디자인하고, 'X'를 디자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반농반X, 본능을 따라 정체성 찾기

'반농반X'는 일본의 시오미 나오키가 제안한 개념으로, 시골로 내려가 일의 절반은 농사로, 나머지 반은 좋아하는 일이나 사회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삶을 의미합니다.

저자는 "역사 이래로 농촌에 농민만 살았던 것도 아니고 농사만 짓는 농부도 없었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농사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나 환상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귀농·귀촌의 길을 모색하라는 조언입니다.

우리에게는 본능이 있습니다. 경작본능, 목축본능, 요리본능, 공작본능, 노래하는 본능, 춤추는 본능 등 다양한 본능이 있죠. 이러한 본능에 귀를 기울이고 가슴의 소리를 따라야 비로소 성공적인 귀향이 가능하다는 것이 저자의 메시지입니다.

로컬리티가 살아 숨쉬는 곳

'로컬리티(locality)'는 '삶의 터로서 로컬이라는 공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시간을 통해 축적한 경험과 다양성의 총체'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떠올리면 됩니다.

전라북도 완주군은 로컬푸드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완주는 '로컬푸드 1번지'로 불리며, '지역에서 난 농산물은 지역에서 모두 소비한다'는 로컬푸드 개념을 2012년 국내에 처음 들여와 전국에 퍼뜨렸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완주를 로컬푸드 정책 우수 사례로 선정하며 "대한민국 최초로 사회적 농업정책을 펼쳐 여러 가지 혁신을 낳았다"고 평가했습니다.

퍼머컬처의 가치와 원리

퍼머컬처는 단순한 농법이 아닌 자연의 원리를 이해하고 함께 일하는 생활환경을 디자인하는 체계입니다. 퍼머컬처의 핵심 가치관은 '지구 살림(Earth Care)', '사람 살림(People Care)', 그리고 '공정한 공유(Fair Share)'입니다.

퍼머컬처 디자인 원리에는 '관찰하고 상호작용하라', '에너지를 저장하라', '수확/수익을 창출하라', '재생산 자원을 사용하라', '낭비를 줄이라', '패턴에서 세부사항으로 설계하라', '분리보다는 통합하라', '작고 느린 해결책을 사용하라', '다양성을 활용하고 소중히 여겨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들은 농업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완주군의 매력

완주군은 깨끗한 자연환경과 공기, 그리고 만경강과 안수산으로 대표되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특히 만경강 뚝방길의 경관은 많은 사람들에게 인상적인 기억으로 남습니다.

완주군의 매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깨끗한 자연환경과 좋은 공기
  •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사람들이 있는 커뮤니티
  • 20분 정도만 차를 타고 나가면 있는 다양한 인프라 (전주 등)
  • 로컬 푸드 접근성과 깨끗한 먹거리

완주를 방문한다면 고산자연휴양림을 추천합니다. 또한 최근 SNS에서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는 완주는 인스타그램에서 '#완주여행', '#아원고택' 등의 해시태그가 수만 건의 게시물을 기록하고 있으며, M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 여행지와 휴양 여행 명소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제, 시골'은 단순한 귀농·귀촌 가이드북이 아닌, 우리의 삶과 가치관을 돌아보게 하는 철학서이자,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침서입니다. 도시에서든 농촌에서든, 한 가지 일에 매달리지 않고 다양한 정체성과 활동으로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다는 희망과 가능성을 제시하는 이 책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귀중한 통찰을 선물합니다.

완주를 방문하신다면, 고산미소시장과 완주미디어센터를 둘러보시고,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보세요. 도시의 복잡함을 잠시 잊고, 완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보는 것은 어떨까요?

#퍼머컬처,#귀농귀촌,#이제시골,#임경수,#완주여행,#로컬리티,#반농반X,#지속가능한삶,#귀향디자인,#고산미소시장,#완주미디어센터,#전북여행,#완주가볼만한곳,#농촌살이,#퍼머컬처디자인,#지구살림,#사람살림,#공정한공유,#로컬푸드

Designing a New Life with Permaculture: A Review of Lim Kyung-soo's Book "Now, Countryside"

Hello, this is Mosey Wanju, exploring what to do in Wanju!

Today, I'd like to introduce you to the book "Now, Countryside" by author Lim Kyung-soo. After the pandemic, many people are turning their eyes to regional living away from complex cities, and this book will serve as an excellent guide for those considering returning to rural areas.

Permaculture, Designing a Sustainable Life

"Now, Countryside" is not just a simple guide to returning to farming but a book with the subtitle "Designing Your Return with Permaculture." Permaculture is a compound of "permanent" and "agriculture" or "culture," referring to a design system for creating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s.

Author Lim Kyung-soo majored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learned permaculture at the Crystal Waters eco-village in Australia. In 2001, he founded the social enterprise "Ijang." Currently, he has established a new "Ijang" cooperative, focusing on resident autonomy and local asset projects.

The New Meaning of Returning Home (Gwihyang)

The author summons the word "Gwihyang (歸鄕)" (returning home), say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returning to farming and returning to rural areas is actually ambiguous. He states:

"If you interpret the 'hyang' in Gwihyang differently, it refers to a place where locality remains. Gwihyang contains the meaning of living a new life in a region where locality is alive, even if it's not where you were born. Therefore, designing your return doesn't distinguish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f locality remains, if you can find a new life based on locality, then returning home is possible even in the alleys of big cities or apartment complexes."

The author encourages not simply moving to rural areas but designing a "return home" that suits you. He suggests designing the "farming" part of "half-farming, half-X" and the "X" part according to each person's situation.

Half-Farming, Half-X, Finding Identity by Following Instinct

"Half-farming, half-X" is a concept proposed by Japan's Shiomi Naoki, referring to a life where half of your work is farming and the other half is doing what you like or contributing to society while living in the countryside.

The author says, "Throughout history, not only farmers lived in rural areas, and there were no farmers who only farmed." This is advice to move away from vague yearnings or fantasies about farming and seek a realistic path to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s.

We have instincts: cultivation instinct, livestock instinct, cooking instinct, crafting instinct, singing instinct, dancing instinct, and more. The author's message is that only by listening to these instincts and following your heart's voice can you successfully return home.

Where Locality Breathes

"Locality" means "the totality of experiences and diversity accumulated over time by people living in a local space as their living ground." Simply put, think of the drama "When the Camellia Blooms."

Wanju-gun in Jeollabuk-do is cited as a successful case of local food. Wanju is called the "No. 1 place for local food," and it was the first to introduce the concept of local food in Korea in 2012, spreading it nationwide.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selected Wanju as an excellent case of local food policy, evaluating that "it was the first in Korea to implement social agricultural policies, bringing about various innovations."

The Values and Principles of Permaculture

Permaculture is not just a farming method but a system for designing living environments that understand and work with nature's principles. The core values of permaculture are "Earth Care," "People Care," and "Fair Share."

Permaculture design principles include "observe and interact," "store energy," "create harvest/profit," "use renewable resources," "reduce waste," "design from patterns to details," "integrate rather than separate," "use small and slow solutions," and "use and value diversity."

These principles contain wisdom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agriculture but also to our daily lives.

The Charm of Wanju-gun

Wanju-gun boasts clean natural environments and air, and beautiful scenery represented by the Mangyeong River and Ansu Mountain. Especially, the scenery of the Mangyeong River embankment path leaves an impressive memory for many people.

The charms of Wanju-gun include:

  • Clean natural environment and good air
  • A community that is not complicated but has the necessary people
  • Various infrastructure just a 20-minute drive away (such as Jeonju)
  • Access to local food and clean ingredients

If you visit Wanju, I recommend the Go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lso, Wanju, which is recently emerging as a hot place on SNS, has tens of thousands of posts with hashtags like "#WanjuTravel" and "#AwonGotaek" on Instagram, and is becoming a new regional travel destination and resort for the MZ generation.

Conclusion

"Now, Countryside" is not just a simple guide to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s, but a philosophy book that makes us look back at our lives and values, and a guide for a sustainable future. This book, which presents the hope and possibility of living a balanced life with various identities and activities rather than sticking to one job, whether in the city or the countryside, offers valuable insights to everyone living in modern society.

If you visit Wanju, take a look around the Gosan Miso Market and Wanju Media Center, and spend leisurely time in the beautiful nature. How about forgetting the complexity of the city for a moment and spending relaxing time with the beautiful nature of Wanju?

#permaculture,#returningtofarming,#nowcountryside,#limkyungsoo,#wanjutravel,#locality,#halffarminhalfx,#sustainablelife,#returningdesign,#gosanmisomarket,#wanjumediacenter,#jeonbuktravel,#placestovisitwanju,#ruralliving,#permaculturedesign,#earthcare,#peoplecare,#fairshare,#localfood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