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완주에서 뭐 하지? 모지완주입니다.
여러분은 독서모임에 참여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전라북도 완주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특별한 독서모임, '책 읽는 농부'(줄여서 '책동')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 모임은 지역 농민들이 함께 모여 책을 읽고 현실의 문제를 고민하는 풀뿌리 독서모임인데요, 특히 녹색평론을 함께 읽으며 농업과 생태,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완주군의 독서문화 지원 정책
먼저 반가운 소식을 알려드릴게요! 완주군에서는 2025년도 독서모임 운영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내 독서문화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약 18개의 독서모임을 지원할 예정이며, 지원 금액은 심사 기준에 따라 8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차등 지급된다고 합니다. 지원금의 10% 이상은 자부담이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완주군은 전년도에도 13개의 독서모임을 운영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고, 참여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성과로 올해 사업의 규모를 확대했다고 하네요. 지원 내용은 독서모임 토론용 도서 구입비, 역량 강화 프로그램 및 교육, 도서관 내 활동 공간 지원 등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신청 대상은 완주군 도서관을 기반으로 활동 계획이 있는 독서모임 단체로, 5인 이상의 구성원이 월 1회 이상 정기적인 독서모임을 운영해야 한다고 해요. 또한, 구성원의 70% 이상이 완주군민 또는 완주군 소재 직장인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독서모임 활성화 홍보에 협조할 수 있는 단체여야 한다고 합니다.
'책 읽는 농부' 모임의 지향점
이제 본격적으로 '책 읽는 농부' 모임에 대해 알아볼까요? 이 모임을 이끄는 농부들은 자신들의 지향점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 지역에서 농사짓는 농민의 삶을 지향한다
- 땅속 미생물과 땅 위의 모든 생명들, 그리고 사람들까지 모두를 건강하게 하는 농사를 지향한다
- 토종을 중심으로 소농, 협농, 유기농, 친환경을 추구한다
- 책을 함께 읽으며 현실을 함께 고민한다
이 모임에 참여한 농부들은 3년차부터 24년차까지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이들로, 각자 '동방의 별', '혼맘' 등의 별명으로 친근하게 교류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들은 신자유주의 체제 속에서 토종 씨앗이 사라지는 현실에 맞서 자립적인 농부로 살아가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어요.
https://youtu.be/TwK_vQk9hhI?si=xwhOXTqhuHC5otKR
녹색평론과 독서모임의 의미
녹색평론은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가 김종철이 창간한 잡지로, 전국적으로 25개 이상의 독자모임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독서모임은 단순한 책 읽기를 넘어 지역 자치와 풀뿌리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고 있어요. '책 읽는 농부' 모임도 이런 맥락에서 약 1년 전부터 자발적으로 시작되어 18회차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혼자 있어서는 의식이 깨어있기 어렵다"며 함께 모여 대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들에게 녹색평론 읽기는 단순한 독서 활동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실천적인 활동이랍니다.
신자유주의와 파시즘의 연결고리
'책 읽는 농부' 모임에서는 녹색평론 187호(2024년 가을호)에 실린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파시즘으로 귀결되는가"라는 크리스 해지스의 글을 함께 읽고 토론했습니다. 이 글에 따르면 신자유주의는 경제 이론으로서의 타당성이 부족하며, 그 핵심은 계급 권력의 회복에 있다고 지적합니다. 세계적으로 단 여덟 집안이 세계 인구 절반이 가진 것과 같은 양의 재산을 소유하는 극단적인 불평등이 신자유주의의 결과라는 것이죠.
글은 데이비드 하비의 말을 인용하며 신자유주의가 1970년대 노동자들의 조직화와 저항에 맞서 자본가 계급이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임을 설명합니다. 특히 "불평등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평등하게 취급하는 것만큼 불평등한 일은 없다"는 문장은 참가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해요.
신자유주의는 '시장의 자유'를 강조하지만, 이는 진정한 자유가 아니라 소수에게만 혜택을 주는 '나쁜 자유'라는 점이 강조됩니다. 글은 칼 폴라니의 분석을 인용하며 신자유주의가 필연적으로 권위주의나 파시즘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현실 세계와의 연결
참가자들은 이 글의 내용을 현실 세계, 특히 한국 사회와 연결지어 논의합니다. 정부가 비판 세력을 '반국가 세력'으로 매도하는 현상이나, 과거 독재 시대를 그리워하는 현수막이 전국에 걸려있는 현실을 신자유주의가 파시즘으로 귀결되는 사례로 언급합니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도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토종 씨앗이 사라지고 농민들이 소비자로 전락하는 현실을 지적합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립 농부'의 철학을 강조하며, 농자재 회사에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살아가는 농부가 되는 것의 중요성을 논의합니다.
풀뿌리 민주주의와 대안 모색
참가자들은 대형 정당 중심의 정치가 아닌, 지역에서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풀뿌리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정치하는 엄마들"과 같은 지역 모임이나 '책 읽는 농부'와 같은 소규모 독서모임이 사회 변화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믿는 것이죠.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토종 중심의 소농, 협업농, 유기농, 친환경 농업을 추구하며 신자유주의 체제에 저항하는 실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서로 연대하고 힘을 주며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개인적 경험과 성찰
모임에 참여한 한 회원은 금산에서의 농사 경험을 나누며, 800평의 땅에서 농약 없이 농사를 짓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는지 토로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모임을 통해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을 만나 위안과 용기를 얻는다고 말합니다.
다른 참가자는 50평 정도의 작은 텃밭으로 시작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자신의 경험을 나누기도 합니다. 이처럼 '책 읽는 농부' 모임은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경험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공간입니다.
완주군의 다양한 독서모임 지원
완주군에서는 '책 읽는 농부' 외에도 다양한 독서모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책육아 동아리'는 취학 전 천 권 읽기 사업 참여자 중 매월 책육아 동아리를 구성해 활동하기를 원하는 양육자를 대상으로 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완주군은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를 위한 독서문화 활성화에 힘쓰고 있어요.
완주군의 독서모임 지원은 지역 주민들의 책 읽는 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의 독서문화 정착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러분도 완주군의 다양한 독서모임에 관심 있으시다면, 완주군립 도서관 홈페이지를 참고해 보세요. 함께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는 소중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완주군독서모임 #책읽는농부 #녹색평론 #독서문화 #풀뿌리민주주의 #유기농 #친환경농업 #토종씨앗 #자립농부 #신자유주의 #파시즘 #지역공동체 #책육아동아리 #완주군립도서관 #모지완주
The "Book Reading Farmer" Group Exploring the Connection Between Neoliberalism and Fascism - A New Wave of Reading Culture in Wanju County
Hello, what to do in Wanju? This is Mosey Wanju.
Have you ever participated in a book club? Today, I'd like to introduce you to a special reading group active in Wanju, Jeollabuk-do, called 'Book Reading Farmer' (abbreviated as 'Chaekdong'). This group is a grassroots reading club where local farmers gather to read books and contemplate real-world issues, particularly reading Green Review together and engaging in deep conversations about agriculture, ecology, and social issues.
Wanju County's Reading Culture Support Policy
First, I have some good news to share! Wanju County is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local reading culture through its 2025 reading group operation support project. This year, they plan to support approximately 18 reading groups, with support amounts varying from 800,000 to 1 million won depending on evaluation criteria. Please note that at least 10% of the funding must be self-funded!
Wanju County continued active operations with 13 reading groups last year and has expanded the scale of this year's project due to high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s. Support includes purchasing books for reading group discussions, capacity-building programs and education, and providing activity spaces within libraries.
Eligible applicants are reading group organizations planning to base their activities in Wanju County libraries, with at least 5 members who operate regular reading groups at least once a month. Additionally, at least 70% of members must be Wanju County residents or work in Wanju County, and the organization must be able to cooperate in promoting reading group activities.
The Direction of the 'Book Reading Farmer' Group
Now, let's learn more about the 'Book Reading Farmer' group! The farmers leading this group clearly state their direction:
- Aim for the life of a farmer cultivating in the local area
- Aim for farming that makes all life healthy, from microorganisms in the soil to all life above ground, and people too
- Pursue small-scale, cooperative, organic, and eco-friendly farming centered on native seeds
- Read books together and contemplate reality together
The farmers participating in this group have diverse experiences ranging from 3 to 24 years, and they interact familiarly with nicknames like 'Eastern Star' and 'Honmam'. In particular, they are contemplating ways to live as self-reliant farmers in the face of the reality where native seeds are disappearing under the neoliberal system.
The Meaning of Green Review and Reading Groups
Green Review is a magazine founded by Korean ecologist Kim Jong-chul, with more than 25 reader groups actively operating nationwide. These reading groups serve as the foundation for local autonomy and grassroots democracy, beyond simply reading books. The 'Book Reading Farmer' group also started voluntarily about a year ago in this context and has continued for 18 sessions.
Participan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athering and conversing together, saying, "It's difficult to stay conscious when alone." For them, reading Green Review is not just a reading activity but a practical activity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seek alternatives.
The Connection Between Neoliberalism and Fascism
The 'Book Reading Farmer' group read and discussed Chris Hedges' article "How Neoliberalism Leads to Fascism" published in Green Review Issue 187 (Fall 2024). According to this article, neoliberalism lacks validity as an economic theory, and its core lies in the restoration of class power. It points out that the extreme inequality where just eight families in the world own as much wealth as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is the result of neoliberalism.
The article quotes David Harvey, explaining that neoliberalism is an ideology created by the capitalist class to counter the organization and resistance of workers in the 1970s. In particular, the sentence "There is nothing more unequal than treating unequal people equally" left a deep impression on the participants.
Neoliberalism emphasizes 'market freedom', but it is emphasized that this is not true freedom but 'bad freedom' that benefits only a few. The article quotes Karl Polanyi's analysis, arguing that neoliberalism inevitably leads to authoritarianism or fascism.
Connection to the Real World
Participants discuss the content of this article in connection with the real world, especially Korean society. They mention phenomena such as the government denouncing critical forces as 'anti-state forces' or banners longing for the past dictatorship era hanging across the country as examples of neoliberalism leading to fascism.
In the agricultural field as well, they point out the reality where native seeds are disappearing and farmers are reduced to consumers due to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As an alternative, they emphasize the philosophy of 'self-reliant farmers' and discuss the importance of becoming farmers who live self-reliantly without depending on agricultural material companies.
Grassroots Democracy and Seeking Alternatives
Participan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rassroots politics where citizen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region, rather than politics centered on large parties. They believe that local groups like "Political Mothers" or small reading groups like 'Book Reading Farmer' can be seeds of social change.
Especially in the agricultural field, they continue to practice resistance to the neoliberal system by pursuing small-scale, cooperative, organic, and eco-friendly agriculture centered on native seeds. Participants seek ways to support and work together with each other.
Personal Experiences and Reflections
One member who participated in the meeting shares their farming experience in Geumsan, expressing how difficult it was to farm without pesticides on 800 pyeong of land. Nevertheless, they say they gain comfort and courage by meeting people with the same concerns through such gatherings.
Another participant shares their experience, saying that starting with a small garden of about 50 pyeong is realistic. Thus, the 'Book Reading Farmer' group is a space wher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naturally blend together.
Wanju County's Support for Various Reading Groups
Wanju County supports various reading groups besides 'Book Reading Farmer'. In particular, the 'Book Parenting Club' targets caregivers who want to form and participate in monthly book parenting clubs among participants in the project to read a thousand books before school age. In this way, Wanju County is striving to revitalize reading culture for various classes and age groups.
Wanju County's support for reading groups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spread of reading culture among local residents. I hope that it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revitalization of residents' reading culture through various support programs.
If you are interested in Wanju County's various reading groups, please refer to the Wanju County Library website. It will be a valuable experience to read books together and share thoughts!
#WanjuCountyReadingGroup #BookReadingFarmer #GreenReview #ReadingCulture #GrassrootsDemocracy #OrganicFarming #EcoFriendlyAgriculture #NativeSeeds #SelfReliantFarmer #Neoliberalism #Fascism #LocalCommunity #BookParentingClub #WanjuCountyLibrary #MoseyWanju
'관계ON: 관하여 (not About) > 고산은 고상해 (사서 고생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놀이터에서 만나는 특별한 경제교육, 고산마을배움사회적협동조합의 '모터' 이야기 (3) | 2025.05.16 |
---|---|
[완주 여행 꿀팁] 공유지에서 살아가기: 책 읽는 농부 모임과 함께하는 새로운 주거 공동체 이야기 (5) | 2025.05.15 |
녹색평론 독자모임 '책 읽는 농부'와 함께하는 농촌 정착 이야기 (0) | 2025.05.15 |
기후위기와 산림보호, 농부들의 목소리로 듣는 녹색평론 이야기 (1) | 2025.05.15 |
[완주라디오_책 읽는 농부] 녹색평론으로 알아보는 완주군의 공공교통 이야기 (2)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