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완주에서 뭐 하지? 모지완주입니다.
완주에서 만나는 중세와 오늘의 생태 이야기
오늘은 조금 특별한 이야기를 들려드릴까 합니다. 바로 “마녀는 퍼머컬처 농부였다?”라는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중세 유럽의 마녀 이야기와, 오늘날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생태 농부들의 삶을 연결해보려고 해요. 마녀와 농부, 그리고 자본주의의 시작까지, 역사와 현재를 오가는 생생한 이야기! 함께 떠나볼까요?
중세, 마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빗자루를 타고 하늘을 나는 마녀’의 이미지는 사실 중세 후반, 그리고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중세 유럽에서 마녀라는 존재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12세기 무렵부터였어요. 이때부터 교회 재판에서 ‘마녀’라는 개념이 언급되기 시작했고, 15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마녀사냥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제도화되었습니다.
특히 1484년 교황이 마녀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1487년에는 ‘마녀의 망치’라는 마녀사냥 지침서까지 출간되면서 마녀사냥은 본격화되었죠. 이 시기에는 사회적 위기와 불안, 그리고 경제적 변화가 겹치면서, 주로 사회적 약자였던 여성과 노인, 고아 등이 마녀로 몰려 희생당했습니다.
마녀사냥과 자본주의의 시작, 그 묘한 연결고리
마녀사냥이 절정에 달했던 16~17세기는 유럽에서 자본주의가 싹트던 시기와 정확히 겹칩니다. 이 시기에는 인클로저 운동(공동 경작지의 사유화), 농업의 자본주의화, 도시 상공업의 성장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어요.
이 변화 속에서, 특히 가난한 농촌 여성이나 공동체 내에서 자율적 권력을 갖고 있던 이들이 마녀로 지목되어 박해를 받았습니다. 여성의 재생산과 치유, 공동체 내 권력은 해체되고, 남성 중심의 임금노동 체제가 자리 잡기 시작했죠. 이는 자본주의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여성의 경제적·사회적 권리와 공동체적 저항을 분쇄하는 정치적 기획이기도 했습니다.
즉, 마녀사냥은 단순한 미신이나 종교적 광기가 아니라, 자본주의적 질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발생한 현상이었습니다. 여성의 권력 해체와 자본주의 질서 구축이 맞물린 역사적 현상이었던 셈이죠.
마녀는 정말 퍼머컬처 농부였을까?
여기서 오늘의 주제로 돌아옵니다. ‘마녀는 퍼머컬처 농부였다’는 말, 과연 무슨 뜻일까요?
퍼머컬처는 자연의 생태순환 원리를 본뜬 지속가능한 농업 방식입니다. 땅을 갈지 않고, 다양한 식물이 어우러져 자라며,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농법이죠.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며, 땅과 생태계를 회복하는 철학이기도 합니다.
전통사회에서 마녀로 불렸던 여성들은 종종 약초를 다루고, 공동체의 건강을 책임졌으며, 자연의 힘을 이해하고 땅을 가꾸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오늘날의 퍼머컬처 농부들과 닮아 있습니다. 실제로 전북 진안 등지의 퍼머컬처 농부들은 자신들의 농사와 삶을 ‘마녀’에 빗대기도 해요.
‘마녀의 계절’ 꾸러미, 그리고 농부들의 이야기
전국의 청년 여성 농부들이 모여 ‘마녀의 계절’이라는 이름으로 제철 농산물 꾸러미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꾸러미는 화학비료나 농약을 쓰지 않고, 자연의 흐름에 맞춰 건강하게 길러진 농산물만을 담아 소비자에게 전달해요. 각 계절마다 다른 농부가 꾸러미를 책임지고, 농산물과 함께 재배 과정, 특징, 요리법이 담긴 편지도 함께 보내집니다.
이들은 “밥상에서 계절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계절을 돌려드리고 싶다”는 마음으로 시작했다고 해요. 마치 마법처럼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힘을 담은 농산물을 전하는 것이죠. 여기서 ‘마녀’는 자연과 조화롭게 농사짓는 여성 농부의 상징이자 자긍심입니다.
퍼머컬처, 기후위기 시대의 대안
퍼머컬처는 단순한 농법을 넘어, 우리의 일상과 사고방식까지 바꾸는 사회·문화적 체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산업형 농업이 지구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현실에서, 퍼머컬처는 땅속 미생물과의 공존, 탄소 저장, 물 보존 등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을 제안합니다.
국내에서도 ‘퍼머컬처 네트워크’가 출범해 도시와 농촌을 넘나들며 다양한 실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농부들은 혼자서라도 꿋꿋이 밭을 관리하며,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미래세대인 아이들을 위해 퍼머컬처 교육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마녀와 농부, 그리고 우리가 나아갈 길
중세의 마녀사냥은 여성과 약자, 공동체의 힘을 억누르며 자본주의 질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비극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마녀’의 이름을 빌려 자연과 공생하는 삶을 실천하는 농부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기후위기 시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과 공동체의 회복, 그리고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합니다.
마녀는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로운 농부, 그리고 우리 모두의 미래를 위한 동반자일지도 모릅니다.
오늘의 여행 꿀팁!
- 완주와 전북 곳곳에서 퍼머컬처 농업 체험 프로그램이나 꾸러미 상품을 찾아볼 수 있어요.
- 제철 농산물 꾸러미는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하며, 계절의 변화를 밥상에서 느껴보고 싶다면 꼭 한 번 경험해보세요.
- 퍼머컬처 관련 강연, 교육, 텃밭 체험 등은 지역 커뮤니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완주여행 #퍼머컬처 #마녀의계절 #지속가능한농업 #여성농부 #생태전환 #기후위기 #슬로우라이프 #모지완주 #moseywanju
[English Version]
Witch Was a Permaculture Farmer?
A Story Connecting Medieval History and Today's Eco-Farming in Wanju
Hello, what to do in Wanju? This is mosey wanju.
Today, I want to share a special story: "Was the witch a permaculture farmer?" Let's connect the tale of medieval witches with the lives of today's eco-farmers facing the climate crisis. From witches and farmers to the dawn of capitalism-let's travel through history and the present together!
How Did Witches Emerge in the Middle Ages?
The familiar image of a witch riding a broomstick was actually established in the late Middle Ages and early modern period. The concept of the witch began to appear in the 12th century, and by the late 15th century, witch hunts became institutionalized.
Especially after the Pope officially recognized witches in 1484 and the publication of the "Malleus Maleficarum" in 1487, witch hunts intensified. During this period of social and economic turmoil, women, the elderly, and orphans-often the most vulnerable-were accused and persecuted as witches.
Witch Hunts and the Birth of Capitalism
The peak of witch hunt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coincided with the rise of capitalism in Europe. The enclosure movement,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 growth of urban industries transformed society.
In this context, poor rural women and those with communal power were often targeted as witches. The dismantling of women's reproductive and healing roles and the rise of male-centered wage labor were part of the capitalist order's establishment. Witch hunts were not mere superstition but a structural phenomenon tied to the rise of capitalism.
Was the Witch Really a Permaculture Farmer?
Permaculture is a sustainable farming method based on natural ecological cycles. It avoids plowing, uses diverse crops, and shuns chemic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In traditional societies, women labeled as witches often handled herbs, cared for community health, and understood the land-much like today's permaculture farmers.
The "Season of the Witch" Box and Farmer Stories
Young female farmers across Korea are delivering seasonal produce boxes called "Season of the Witch." These boxes contain only naturally grown, seasonal produce, along with letters detailing the cultivation process, characteristics, and recipes.
They started this to "return the seasons to people who have lost them at the table." Here, the "witch" is a symbol of pride for women farmers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Permaculture: An Alternative in the Climate Crisis Era
Permaculture is more than a farming method; it's a philosophy and a way of life. As industrial agriculture threatens the planet, permaculture offers sustainable ways to coexist with soil microbes, store carbon, and conserve water.
The "Permaculture Network" in Korea is actively promoting this movement, with education and hands-on programs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Witches, Farmers, and Our Future
Medieval witch hunts suppressed the power of women and communities during the rise of capitalism. Today, farmers who invoke the name of the "witch" are practicing sustainable agriculture and proposing new ways of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Witches are no longer figures of fear but wise farmers and companions for our sustainable future.
Travel Tip!
- You can find permaculture farming experiences and seasonal produce boxes in Wanju and throughout Jeonbuk.
- Seasonal produce boxes are available online-try them to experience the changing seasons at your table.
- Look for permaculture lectures, education, and garden experiences through local communities and networks.
Hashtags
#WanjuTravel #Permaculture #SeasonOfTheWitch #SustainableFarming #WomenFarmers #EcoTransition #ClimateCrisis #SlowLife #moseywanju
#완주여행 #퍼머컬처 #마녀의계절 #지속가능한농업 #여성농부 #생태전환 #기후위기 #슬로우라이프 #모지완주 #moseywanju
'퍼머컬처와 상생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과 함께 사는 지혜, 빌 몰리슨의 퍼머컬처를 만나다 (1) | 2025.05.19 |
---|---|
흙 없이 자라는 미래 농업, 에어로포닉스의 명암과 흙 미생물의 중요성 (1) | 2025.05.08 |
도심 속 작은 오아시스, 커뮤니티가든에서 만나는 특별한 하루🌿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