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여행하기/느림보 세상읽기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기일은 왜 4월 4일이어가지고... "제주4·3에서 윤석열 탄핵까지: 국가 폭력의 역사와 민주주의의 시험대"

모지완주: 느리게 완주해부러 2025. 4. 4. 01:41
728x90
SMALL

제주4.3이 생각나게 만드는 걸까요,

설마 싶으면서도....만에 하나... 백만에 하나라도 일어나면 안 될 결과가 벌어지는 건 아니겠지요?!

제주4.3이 이승만 정국장악을 위한 시범케이스처럼 계엄을 이용한 것이고 그 과정과 결말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비극인데요... 우리의 2025년 4월 4일 이후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제주도 하면 떠오르는 건 푸른 바다와 아름다운 자연이지만, 그 이면에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아픈 역사가 있습니다. 바로 제주4·3사건. 이 사건은 단순한 지역적 충돌이 아니라, 국가 폭력과 민간인 희생의 상징적 사건으로, 오늘날까지도 깊은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은 또다시 위헌적 행위로 논란이 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 심판이라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습니다. 과거의 교훈은 오늘날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있을까요?


제주4·3사건: 국가 폭력의 비극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이어진 제주4·3사건은 단순한 지역적 갈등이 아니라 국가가 민간인을 폭도로 규정하고 대규모 학살을 자행한 비극입니다.

1. 사건의 발단

1947년 3월 1일, 제주도에서 열린 기념행사에서 경찰의 발포로 민간인 6명이 희생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도민들의 분노를 촉발시키며 대규모 총파업으로 이어졌고, 이후 남로당 무장대와 정부군 간의 충돌로 확대되었습니다.

2. 단독선거와 강경 진압

1948년 5월 10일 남한 단독선거에서 제주도는 유일하게 두 선거구가 투표율 미달로 무효 처리되었는데요. 이는 도민들이 분단 반대 의사를 강력히 표명한 결과였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를 반정부 활동으로 간주하며 강경 진압에 나섰습니다.

3. 초토화 작전과 계엄령

1948년 11월 17일, 이승만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중산간 지역 주민들을 폭도로 규정했습니다. 해안선에서 5km 이상 떨어진 마을 주민들은 모두 소개령(疎開令)을 받고 강제로 이주하거나 처형당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약 25,000~30,000명의 민간인이 희생되었고, 제주도의 중산간 마을 대부분이 불타 없어졌습니다.

오늘날 '잃어버린 마을'이라 불리는 중산간 지역은 당시의 비극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2025년 윤석열 대통령 탄핵: 또 다른 계엄 논란

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12월, 정치적 위기를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이는 헌법 제77조에 규정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위헌적 조치로 평가받으며, 야당과 시민사회로부터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령이 "경고성" 목적이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행위로 간주되었습니다.


4월 4일, 대한민국의 운명을 가를 날

오늘 오전 11시,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결과를 선고합니다. 재판관 8명 중 6명 이상이 찬성하면 윤 대통령은 즉시 파면되며, 대한민국 헌정 사상 두 번째로 파면된 대통령이 됩니다. 반면 기각 또는 각하될 경우 그는 즉시 직무에 복귀하게 됩니다.

이번 판결은 단순히 한 사람의 정치적 운명을 넘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제주4·3과 윤석열 정국의 공통점

  1. 계엄령 남용: 제주4·3 당시 이승만 정부는 계엄령을 통해 민간인을 억압했고, 윤석열 정부는 이를 "경고성 조치"라며 정치적 도구로 활용했습니다.
  2. 국민 분열: 두 사건 모두 국민들 사이에 깊은 갈등과 분열을 초래했습니다.
  3. 민주주의 시험대: 제주4·3은 국가 폭력에 대한 반성과 화해를 요구했고, 오늘날 윤석열 탄핵 정국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시험대에 올려놓고 있습니다.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

제주4·3사건은 단순히 과거의 비극이 아니라,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국가 폭력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며, 화해와 상생의 필요성을 일깨워줍니다.

윤석열 탄핵 정국 역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합니다.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우리는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함께 기억하고 행동하세요!

  • 제주4·3평화공원 방문하기: 역사의 현장에서 교훈을 느껴보세요! 
  • SNS에서 알리기: #제주43 #윤석열탄핵 #민주주의수호 해시태그를 사용해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세요!
  • 헌재 판결 생중계 시청하기: 오늘 오전 11시, 헌법재판소 판결을 지켜보며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나아갈 방향에 함께 관심을 가져주세요!

👉 블로그 하단에서 관련 역사 다큐멘터리와 추천 도서를 확인하세요!

 
순이 삼촌
대한 회의, 당대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비판, 인간의 황폐한 내면 의식의 세계에 대한 탐닉, 그리고 교직생활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자신을 모델로 한 자기 고백적 소설을 선보이는 등 다양한 작품세계를 펼쳐왔다. 제1권 『순이 삼촌』에서는 오랫동안 금기시했던 ‘4·3사건’을 최초로 세상에 알린 표제작 《순이 삼촌》을 비롯한 10편의 소설을 만나볼 수 있다. 《순이 삼촌》은 학살 현장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났으나 환청과 신경쇠약에 시달리다가 결국은 자살하고
저자
현기영
출판
창비
출판일
2015.03.25


목소리들
1948년부터 7년 7개월 동안, 제주도는 죽음의 섬이었다. 대한민국 군대와 경찰이 공산 빨치산 소탕이라는 명목으로 섬 주민 3만여 명을 학살하고 집을 불 질렀다. 제주 4.3 피해자의 상당부분은 여성들이었지만 그들이 입은 피해는 오래 알려지지 못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한 헌신적인 제주 4.3 연구자의 길을 따라가며, 어둠 속에 봉인되어 온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2024년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평점
-
감독
지혜원
출연
-


지슬 - 끝나지 않은 세월2
1948년 11월, 제주섬 사람들은 ‘해안선 5km 밖 모든 사람을 폭도로 여긴다’는 흉흉한 소문을 듣고 삼삼오오 모여 피난길에 오른다. 도대체 무슨 일이 어디서부터 일어나고 있는지 영문도 모른 채 산 속으로 피신한 마을 사람들은 곧 돌아갈 생각으로 따뜻한 감자를 나눠먹으며 장가갈 걱정, 집에 두고 온 돼지걱정 등 소소한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웃음을 잃지 않는데...
평점
9.1 (2013.03.21 개봉)
감독
오멸
출연
이경준, 홍상표, 문석범, 양정원, 박순동, 성민철, 조은, 장경섭, 연준, 김형진, 백종환, 이경식, 최은미, 손욱, 강희, 김순덕, 김동호, 주정애, 조이준, 손유경

 

#제주43 #윤석열탄핵 #비상계엄 #한국현대사 #역사의교훈 #민주주의수호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English Version

Title: "From Jeju April 3rd to Yoon's Impeachment: Is History Repeating Itself?"

Introduction:
The Jeju April 3rd Incident symbolizes the tragedy of state violence and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2025, South Korea faces another critical moment with President Yoon Suk-yeol's impeachment trial following his unconstitutional martial law declaration. What lessons does history offer us today?


Jeju April 3rd Incident: A Tragedy of State Violence

Between 1947 and 1954, the Jeju April 3rd Incident saw the government label civilians as insurgents and carry out mass killings under martial law. Approximately 25,000–30,000 civilians were killed, and countless villages were destroyed.


2025 Yoon's Impeachment: Another Martial Law Controversy

In December 2024, President Yoon declared martial law citing political instability—a move widely criticized as unconstitutional. His justification of it as a "warning measure" was seen as a serious threat to democracy.


April 4th: A Pivotal Day for South Korea

Today at 11 AM,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announce its verdict on President Yoon's impeachment trial. If six or more judges vote in favor, he will be immediately removed from office. This decision will shape not only his political future but also the trajectory of South Korean democracy.


Parallels Between Jeju April 3rd and Yoon's Impeachment

  1. Misuse of Martial Law: Both events involved the abuse of martial law for political purposes.
  2. Division Among Citizens: Both caused significant societal polarization.
  3. A Test for Democracy: Jeju April 3rd called for reflection and reconciliation; today's impeachment trial tests the resilience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Call to Action: Remember and Share!

  • Visit Jeju Peace Park: Experience history firsthand by visiting this memorial site.
  • Raise Awareness on Social Media: Use hashtags like #Jeju43 #YoonImpeachment #ProtectDemocracy to spread the word!
  • Watch the Live Verdict: Tune in at 11 AM today to witness this historic moment for South Korea's democracy.

👉 Check out related documentaries and recommended books at the bottom of this blog!


 

#Jeju43 #YoonImpeachment #MartialLaw #KoreanHistory #LessonsFromHistory #ProtectDemocracy #ConstitutionalCourt

 

#제주43 #윤석열탄핵 #비상계엄 #한국현대사 #역사의교훈 #민주주의수호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728x90
LIST